반응형
9/24
문제 001. 숫자의 합 구하기
문제 N개의 숫자가 공백 없이 쓰여 있다. 이 숫자를 모두 합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1번째 줄에 숫자의 개수 N(1<= N <= 100), 2번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 없이 주어진다.
출력 : 입력으로 주어진 숫자 N개의 합을 출력한다.
풀이 : N의 범위가 1부터 100까지이므로 값을 int, long과 같은 숫자형으로 담을 수 없다.
- 데이터 표현 범위
- int :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-> 최대 10자리
- long :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 -> 최대 19자리
이기 때문이다. 그래서 문자열 형태로 입력값을 받고 해당 입력값을 배열에 저장해야한다.
코드 :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 (){
int N = 0;
string numbers;
cin >> N;
cin >> numbers;
int sum = 0;
for(int i = 0; i<N ; i++){
sum+=numbers[i] - '0'; //character을 정수로 변환
}
cout<< sum << "\n";
}
# C++에서의 형변환 string형 <-> 숫자형
#include <string> string sNum = "1234"; string sNum_d = "1234.56"; int inum = stoi(sNum); long lnum = stol(sNum); double dnum = stod(sNum_d); float fnum = stof(sNum_d); string numberToString = to_string(inum); //모든 숫자형에 관해서는 to_string()으로 동일
9/25
문제 002. 평균 구하기
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.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.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. 이 값을 M이라고 한다.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/M*100으로 고쳤다.
예를 들어,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,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/70*100이 되어 71.43점이 된다.
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,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 :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.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,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.
출력 :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.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-2 이하이면 정답이다.
참고 :
- int: 일반적으로 4바이트(32비트)를 사용하며,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-2,147,483,648에서 2,147,483,647까지입니다.
- long: 일반적으로 4바이트(32비트) 또는 8바이트(64비트)로 구현되며, C++에서는 최소한 4바이트 이상입니다. 8바이트 long의 경우,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-9,223,372,036,854,775,808에서 9,223,372,036,854,775,807까지입니다.
코드 :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long sum =0;
int A[1000];
long max = 0;
int N =0;
cin >> N;
for(int i =0; i<N;i++){
cin>>A[i];
}
for(int i = 0; i<N; i++){
if(max<A[i]){
max = A[i];
}
sum = sum+A[i];
}
double result =0 ;
result = sum * 100.0 /max /N; //연산순서에 따라 정답이 달라짐. sum /max는 정수여서 소숫점자리가 무시됨.
cout << result<<"\n";
}
반응형
'코딩테스트 > Do it! 알고리즘 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자료구조 - 4. 슬라이딩 윈도우 (2) | 2024.10.07 |
---|---|
2. 자료구조 - 3. 투 포인터 (1) | 2024.09.30 |
2. 자료구조 - 2. 구간합 (1) | 2024.09.28 |
1. 시간 복잡도와 디버깅 (0) | 2024.09.23 |